2022년 10월 31일 장중 상승종목, 하락종목, 시간외 상승 종목 :: 권대리의 주식스토리
권 대리2022. 10. 31. 17:29
2022년 10월 31일 장중 상승종목, 하락종목, 시간외 상승 종목 :: 권대리의 주식스토리
2022년 10월 31일 장중 상승종목, 하락종목, 시간외 상승 종목 :: 권대리의 주식스토리2022년 10월 31일 상승종목
이수화학 : https://www.etoday.co.kr/news/view/2187508 개인 매수세 강세. 11월 이수화학의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 공급을 위한 시운전 진행 및 오는 12월 생산 제품 수요처 공급 계획 발표 소식에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로 상한가. 이수화학은 석유화학 제품(합성세제원료/분자량조정제 등)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21일부터 '레고랜드 사태' 관련 건설사/증권가 연쇄 부실 우려로 자회사 '이수건설' 재무안정성 리스크 부각되면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6일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이수화학의 전고체 배터리 원료 '황화리튬' 사업 성장 기대감,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수혜 기대감 - 전고체 배터리 양산 가속화에 따른 수혜 가능성)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이수화학은 지난 8월과 9월에도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및 증권가 리포트(이수화학의 전고체 배터리 사업 성장 기대감 - 2022년 말 세계 최대 규모 '황화리튬(Li2S)' 데모 플랜트 가동 예정)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으며, 지난 6월에도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이수화학과 미국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 기업 '솔리드파워'의 황화리튬 공급 관련 MOU 체결 소식), 지난해(2021년) 이수화학의 전고체 배터리 원료 '황화리튬' 첫 공개 소식에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화천기계 :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지난 27일 보아스에셋의 화천기계 지분 추가 매입 공시에 따른 경영권 분쟁 가능성(오너일가 VS 보아스에셋) 재부각으로 강세 추정. 화천기계는 공작기계(금속재료 가공용 등) 제조/판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28일에도 경영권 분쟁 가능성 재부각으로 장중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17일 법원의 보아스에셋과 김성진 대표 등이 제기한 임시주주총회 소집허가 가처분 신청 기각 소식에 경영권 분쟁 해소 가능성으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화천기계는 지난 9월과 10월 경영권 분쟁 가능성에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으며, 지난 7월과 8월에도 경영권 분쟁 가능성에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당시 '보아스에셋'은 기존 이사/감사 해임 및 신임 이사/감사 선임 등을 목적으로 주주총회 개최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청구했다고 밝혔음. 화천기계는 지난 6월 우크라이나 복구 재건 관련주(화천기계의 공작기계 제조 및 판매 사업 부각)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 화천기계 경영권 분쟁 관련 기사 :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886501 )
나노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47206632498496 개인 매수세 강세. 지난 28일 나노와 독일기업 'EnBW'의 33억원 규모 SCR 촉매 공급계약 체결 공시로 유럽 시장 진출 본격화 기대감에 강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 주요 국가들의 석탄 화력발전소 재가동으로 인한 나노의 SCR탈질 촉매(화력발전소 환경문제 - 초미세먼지 속 질소산화물 제거 역할) 사업 수혜 기대감도 매수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 나노는 탈질촉매 사업(대기오염 방지 관련 질소산화물 저감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20일 정부의 태백과 삼척 지역 2차전지 핵심 광물 '티타늄' 광산 개발 본격화 기대감으로 티타늄 관련주 이산화티타늄 관련주(나노의 2차전지 핵심소재 '이산화티타늄' 제조기술 부각)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나노는 지난 9월에도 정부의 2차전지 핵심 광물 티타늄 국산화 추진 소식에 티타늄 관련주 이산화티타늄 관련주로 상한가 이력이 있으며, 지난해(2021년) 증권가 리포트(질소산화물 저감 수요 확대로 나노의 환경사업인 탈질촉매 소재 및 필터 생산 사업 수혜 기대감)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아바코 :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아바코의 3분기 호실적 발표(별도기준 전년동기대비 327% 증가한 영업이익 기록) 및 지난 24일 아바코의 긍정적인 전망(2차전지 롤프레스 장비 수주 본격화,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배터리 합작사 '얼티엄셀즈'에 2차전지 물류장비 수주 확대 등)을 담은 증권가 리포트 재부각으로 강세. 아바코는 디스플레이(OLED, LCD) 제조 장비 사업 및 2차전지 장비 사업(2차전지 롤프레스/동박 슬리터 장비 등)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5월 2차전지 배터리 장비 사업 진출 기대감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당시 아바코는 2차전지 '롤프레스' 장비 개발 이후 국내 2차전지 대기업과 양산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음. ( 아바코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024_0002058224 )
에이치와이티씨 : 당일 이슈 없음. 외인 및 개인 매수세 강세. 지난주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3분기 호실적 발표에 따른 2차전지 소재/부품/장비 주가 강세 속 2차전지 관련주(에이치와이티씨의 2차전지 제조 장비(전극판/조립 공정)용 초정밀 부품 사업 부각)로 편입된 에이치와이티씨 동반 강세 추정. 최근 약세였던 주가에 대한 저가 매수세 유입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에이치와이티씨는 지난 8월 코스닥 신규 상장 기업으로 2차전지 제조 장비용 초정밀 부품 사업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지난 8월에도 2차전지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 에이치와이티씨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www.c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505966 )
위드텍 :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030_0002066900 개인 매수세 강세. 국내 첫 '원전해체연구소' 착공 및 2026년 하반기 준공 예정 소식에 원전 관련주 - 원전해체 관련주(위드텍의 원전해체사업 부각 -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술 관련 국책과제 '이동형 원전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분석 설비 개발' 진행 사실)로 편입된 위드텍 강세. 위드텍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오염물질 모니터링 장비(환경 정밀 측정 장비)를 개발·제조·판매하는 기업으로 지난 2월에도 원전 관련주(위드텍의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술 개발 기대감 - 한국원자력연구원 등과 국책과제 '이동형 원전 해체 방사성 폐기물 핵종분석 설비 개발' 수행 사실)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한국팩키지 : 당일 이슈 없음. 개인 매수세 강세. 지난 20일 정부의 '탈 플라스틱' 대책 발표(2025년까지 폐플라스틱 20% 감축) 소식 재부각으로 탈플라스틱 관련주 - 카톤팩 관련주(플라스틱용기 대체 종이용기 '카톤팩' - 한국팩키지의 국내 최초 카톤팩 생산 사실)로 편입된 한국팩키지 강세 추정. 한국팩키지는 액체포장용기(카톤팩 - 우유/주스팩 등) 사업 및 골판지/골판지 상자 제조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21일에도 탈플라스틱 관련주 - 카톤팩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해(2021년) 코로나19 재확산 관련주 - 배달/포장 관련주(한국팩키지가 국내 최초 카톤팩 생산기업으로 배달, 포장용기 관련 사업 수혜 기대감)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효성중공업 :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지난 28일 효성중공업의 3분기 호실적 발표(연결기준 전년동기대비 138.8% 증가한 영업이익 기록) 및 오늘(31일) 효성중공업의 긍정적인 전망(3분기 호실적 발표, 중공업 부문 턴어라운드로 해외 수주 실적 개선 지속될 전망 등)을 담은 증권가 리포트로 강세. 효성중공업은 산업용 전력 설비(변압기, 차단기, 감속기 등) 사업 및 건설(주택, 수소충전소, 액화수소 플랜트, 풍력부품 등)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7월 2분기 실적 발표 기대감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한일사료 :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103110150543587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맺은 '흑해곡물수출협정'을 철회하면서 글로벌 식량 가격 상승 우려로 우크라이나 리스크 관련주 - 식량/사료/비료 관련주(한일사료의 배합사료 사업 부각)로 편입된 한일사료 강세. 한일사료는 지난 11일에도 우크라이나 리스크 관련주 - 식량/사료/비료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9월 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주 - 식량/사료/비료 관련주, 우크라이나 리스크 관련주 - 식량/사료/비료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한일사료는 지난 4월 우크라이나 리스크 관련주 - 식량/사료/비료 관련주로 5거래일 연속 상한가 이력이 있음.
나무기술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843366632498168 개인 매수세 강세. 미국 오픈소스 솔루션 전문 기업 '레드햇'과 미국 방산 기업 '록히드마틴'의 '군사임무용 AI' 개발 추진 소식에 레드햇 관련주(나무기술과 레드햇의 공공/민간 클라우드 통합 플랫폼 출시를 위한 협력 사실)로 편입된 나무기술 강세. 나무기술은 가상화 사업(망분리, 스마트워크 - 재택근무) 및 클라우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해(2021년) 메타버스 관련주(나무기술의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 솔루션 부각,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가입 예정 소식)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신도기연 : 개인 매수세 강세. 무상증자 관련주(지난 4월 신도기연의 100% 무상증자(보통주 1주당 신주 1주 배정) 이력 부각)로 2거래일 연속 강세. 최근 약세였던 주가에 대한 저가 매수세 유입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 신도기연은 디스플레이 장비(OLED)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해(2021년) 메타버스 관련주(신도기연의 메타버스 구현 핵심인 '마이크로LED'에 적용되는 진공 합착 장비 개발 및 관련 기술 보유 사실)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신송홀딩스 :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103110150543587 기관 및 개인 매수세 강세.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맺은 '흑해곡물수출협정'을 철회하면서 글로벌 식량 가격 상승 우려로 우크라이나 리스크 관련주 - 식품주 식량/사료/비료 관련주(신송홀딩스 자회사 '신송식품'의 대두를 원료로 한 장류 사업(고추장, 된장 등) 및 '신송산업'의 해외 곡물 수입 입찰 및 무역 거래 사업 부각)로 편입된 신송홀딩스 강세. 신송홀딩스는 지난 9월에도 식량안보 관련주(자회사 '신송산업'의 해외 곡물 수입 입찰 및 무역 거래 사업 부각) 및 우크라이나 리스크 관련주 - 식품주 식량/사료/비료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우크라이나 리스크 관련주 - 식품주 식량/사료/비료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음.
한미글로벌 :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296792 외인 매수세 강세.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11월 초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및 '네옴시티'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현지 로드쇼 개최 소식 재부각으로 네옴시티 관련주(한미글로벌의 네옴시티 관련 '네옴 더 라인'/'로쉰 주거단지' 수주 이력 부각)로 편입된 한미글로벌 강세. 한미글로벌은 글로벌 8위 건설사업관리(건설사업의 종합 관리) 전문 기업으로 지난 19일부터 네옴시티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난 17일 오는 11월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빈 살만의 방한 및 한-사우디 정상회담 개최 무산 소식으로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 기업의 인프라 건설 수주 차질 가능성에 네옴시티 관련주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한미글로벌은 지난 10월 초 증권가 리포트(한미글로벌의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프로젝트 수혜 예상 - 글로벌 8위 PM(건설사업관리) 업체로 네옴시티 관련 '네옴 더 라인'/'로쉰 주거단지' 수주 이력 부각) 및 네옴시티 관련주, 지난 8월 말부터 네옴시티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을 보여주고 있음. 한미글로벌은 지난해(2021년) 윤석열 관련주(윤석열 전 검찰총장 부인의 '코바나컨텐츠' 후원기업 이력)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GH신소재 : 당일 이슈 없음. 기관 및 개인 매수세 강세. GH신소재는 부직포 사업(자동차 내부 바닥/차량 시트/엔진커버용 등) 및 자동차 부품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월과 7월 코로나19 재확산 관련주 - 음압병실 관련주(GH신소재의 음압병실 관련 원방테크 지분보유 사실과 클린룸 유입 VOC 흡착필터 개발 사실)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 GH신소재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s://sedaily.com/NewsView/2677UNISL7 )
선바이오 : 당일 이슈 없음. 개인 매수세 강세. 최근 약세였던 주가에 대한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강세 추정. 선바이오는 국내 유일 페길레이션 기술(약효를 높이는 기술) 기반 바이오 의약품 개발 기업으로 지난 27일에도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5일 코넥스 시장에서 코스닥 이전 상장 첫날 대규모 차익실현 매도세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 선바이오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s://economist.co.kr/2022/09/16/bioHealth/bio/20220916181048180.html )
금양 : 기관 및 개인 매수세 강세. 지난주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3분기 호실적 발표에 따른 2차전지 소재/부품/장비 주가 강세 속 2차전지 관련주(지난 6월 금양의 국내 세번째 '2170 원통형 배터리' 개발 성공 소식 - 2023년 본격 성장 예상), 리튬 관련주 수산화리튬 관련주(금양의 수산화리튬 가공 설비 및 기술 보유 사실)로 편입된 금양 2거래일 연속 강세. 최근 리튬(탄산리튬) 가격 강세 소식도 매수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금양은 화학제품(발포제/첨가제 등) 및 2차전지(수산화리튬/지르코늄 첨가제 등)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3일부터 금양의 콩고 리튬 광산 개발 MOU 체결 소식에 리튬 관련주 수산화리튬 관련주로 주가 강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지난 9월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증가로 배터리용 정제 리튬(탄산리튬) 가격 강세 소식에 리튬 관련주 수산화리튬 관련주, 2차전지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을 보여준 이력이 있음. 금양은 지난 7월 말부터 2차전지 관련주,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수소에너지 관련주(금양의 수소연료 전지 사업 - 연료전지 핵심 기술인 촉매 기술 보유 및 자회사 금양이노베이션 수소 연료전지 연구 기대감, 부산에 수소 첨단 산업 센터 건립 추진 등) 및 증권가 리포트(금양의 2170 원통형 2차전지 사업 성장 기대감 - 2023년 본격 성장 예상,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재 소재 관련 '수산화리튬' 분쇄 가공 사업/지르코늄 첨가제 사업 부각)로 2거래일 연속 상한가 이력이 있음. 금양은 지난 6월 국내 세번째 '2170 원통형 배터리' 개발 성공 소식, 지난 1월 2차전지 관련주 수산화리튬 관련주(금양의 수산화리튬 가공 설비 및 기술 보유 사실 - 수산화리튬은 하이니켈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양극재 필수 핵심소재), 지난해(2021년) 수소에너지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현대약품 : https://www.etoday.co.kr/news/view/2187435 외인 매수세 강세. 현대약품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치료제 '디만틴정 20mg'에 대한 식약처 품목허가 승인 소식에 알츠하이머 관련주 치매 관련주로 신규 편입되면서 강세. 현대약품은 지난 9월 말과 10월 초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 우려로 방사선 피폭 관련주 요오드 관련주(현대약품의 요오드 함유 베세틴스크럽세액(포비돈요오드) 제품 부각)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6월과 7월 일본 아스카제약의 경구용 피임약 'SLINDA(슬린다)'에 대한 국내 독점 공급 계약 체결 소식 및 국내 최초 산제(경구 투여 가능한 파우더 형태) 제형 치매 치료제 '하이페질산' 출시 소식에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대동 : 당일 이슈 없음.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대동의 3분기 실적 발표 기대감 및 최근 약세였던 주가에 대한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강세 추정. 대동은 농업용 기계(트랙터, 콤바인 등) 전문 생산 기업으로 올해(2022년) 대동의 농기계 기반 디지털 농업/스마트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인공지능/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농업)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우크라이나 리스크 관련주 - 농기계 관련주(대동의 농업용 기계-트랙터, 콤바인 등의 생산 사업 부각)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음. ( 대동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s://www.mk.co.kr/economy/view/2022/377156 )
이엔플러스 :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21031_0002067984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이엔플러스의 차세대 2차전지 실리콘 음극재 제조 기술('탄소-실리콘 복합 전극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특허 확보 소식에 2차전지 관련주 실리콘 음극재 관련주로 강세. 이엔플러스는 특장차 사업(소방차 제작) 및 2차전지 전문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20일부터 이엔플러스의 국내 두번째 자체 소재 사용 '각형 배터리' 개발 성공 소식 및 2차전지 전문 사업(핵심소재 - 도전재/전극, 배터리 완제품 등) 본격화 기대감으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으며, 지난 9월 니켈 관련주(지난 4월 이엔플러스의 필리핀 니켈 광산 채굴 사업권 인수 계약 체결 이력), 그리너지 관련주(이엔플러스와 '그리너지'의 차세대 배터리 공동 개발 협약 체결 이력), 이엔플러스의 2차전지 소재 '탄소나노튜브' 관련 특허(탄소나노튜브 번들 합성용 촉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번들의 제조 방법) 취득 공시 및 리튬황/전고체 배터리 소재 채택 기대감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이엔플러스는 지난 8월 2차전지·ESS 소재 '방열갭필러'에 대한 글로벌 제품 안전성 검증(난연 인증 시험 최고 등급 획득) 소식, 지난 5월 220억원 규모 2차전지 CNT 소재 공급 계약, 지난 4월 쌍용차 인수전 관련 광림 관련주(2018년 이엔플러스(옛 나노메딕스)와 광림의 차세대 특장차 개발 MOU 체결 이력), 지난 2월 유시테크놀로지의 차세대 2차전지 그래핀 슈퍼커패시터 개발 소식에 협력사로 부각되면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 이엔플러스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www.paxetv.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873 )
KG ETS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60406632498496 개인 매수세 강세. 오는 11월 쌍용자동차의 기업회생(법정관리) 절차 마무리 예정 소식에 쌍용차를 인수한 KG그룹주 KG ETS 강세. KG ETS는 바이오에너지(바이오중유)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4월부터 KG그룹의 쌍용차 인수 기대감으로 KG그룹주로 주가 강세 이후 6월 말부터 대규모 차익실현 매도세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KG그룹은 지난 8월 말 쌍용차 인수자로 최종 확정되었음.
2022년 10월 31일 장중 상승종목, 하락종목, 시간외 상승 종목 :: 권대리의 주식스토리2022년 10월 31일 하락종목
앤씨앤 : 외인 매도세 강세. 지난 28일 앤씨앤의 자회사 '베이다스' 흡수합병 결정 공시로 상한가 이후 대규모 차익실현 매도세로 약세. 앤씨앤은 차량용 블랙박스 및 영상 처리 칩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9월 넥스트칩 관련주 ARM 관련주(앤씨앤이 넥스트칩 최대주주 사실 부각)로 상한가 이력이 있으며, 지난 7월부터 자회사 '넥스트칩'의 코스닥 상장 이후 단기 재료 소멸 및 대규모 차익실현 매도세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윙스풋 : 개인 매도세 강세. 지난 27일 윙스풋과 IBKS제12호스팩의 스팩 합병을 통한 코스닥 상장 이후 대규모 차익실현 매도세로 연일 약세. 윙스풋은 신발 편집숍 운영 사업(복합 편집숍 '와이컨셉') 및 유통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10월 중 IBKS제12호스팩과 '윙스풋'의 스팩 합병을 통한 코스닥 상장 기대감 재부각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윙스풋(당시 'IBKS제12호스팩')은 지난 8월 말부터 스팩 합병 상장이 예정된 스팩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후 9월 말부터 대규모 차익실현 매도세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 윙스풋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s://www.ajunews.com/view/20221023154120781 )
진원생명과학 : https://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1394006632497512 외인 매도세 강세. 진원생명과학의 미국 현지 CDMO 자회사 'VGXI'의 매출 부진으로 올해(2022년) 실적 우려에 따른 리스크 회피 매도세로 약세. 진원생명과학은 지난 28일 코로나19 파이프라인(DNA 백신 'GLS-5310'/경구용 치료제 'GLS-1027'/비강(코) 스프레이 치료제 'GLS-1200')에 대한 개발 일정을 지키지 못하면서 기업 신뢰도에 대한 우려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진원생명과학은 지난 9월 미국 바이든 대통령의 자국 바이오 보호주의 강화를 위한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구상' 행정명령 서명 소식으로 진원생명과학의 미국 현지 CDMO 자회사 'VGXI' 수혜 기대감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8월 미국 CMO 사업 관련 6월 플라스미드 DNA(pDNA) 신공장 완공 후 경기 상황 악화로 수주 계약이 없다는 소식에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진원생명과학은 지난 7월 코로나19 재확산 관련주 -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관련주(진원생명과학의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GLS-1027' 미국 임상 8월 종료 예정 및 결과 기대감), 지난 5월 증권가 리포트(유전자 치료제 개발 기업과의 생산/수주 논의 진행 사실, 미국 자회사 'VGXI'의 유전자 치료제, mRNA 생산 원료물질 pDNA(플라스미드 DNA) 사업 성장 기대감 등)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해(2021년)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관련주(진원생명과학의 국산 코로나19 치료제 2건/백신 1건에 대한 임상시험 기대감) 및 mRNA기반 신속 백신제작 플랫폼 개발 국책과제 주관 연구기관으로 선정, 미국 자회사 'VGXI'의 mRNA 백신 원료로 사용되는 플라스미드(Plasmid) DNA 를 생산할 수 있는 CMO 신공장 증설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엄청난 주가 상승을 보여준 이력이 있음. ( 진원생명과학 코로나19 파이프라인 관련 리스크 기사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082406632497512 )
네오펙트 : https://paxnetnews.com/articles/93549 외인 매도세 강세. 네오펙트의 2022년 실적 및 재무 건전성 우려로 리스크 회피 매도세로 약세. 네오펙트는 AI/IOT 기반 재활의료기기 및 재활콘텐츠 개발 및 제작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2일과 13일 2거래일 연속 상한가 이력이 있으며, 지난 13일 거래소의 현저한 시황 변동에 대한 조회공시 요구에 네오펙트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자산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변하였음. 네오펙트는 지난 7일 33억원(자기자본대비 21.5%) 규모 사채원리금 미지급 공시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해(2021년) 관계사 '와이브레인'이 자체 개발한 우울증 전자약에 대한 미 FDA 판매허가 추진 소식에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2022년 10월 31일 장중 상승종목, 하락종목, 시간외 상승 종목 :: 권대리의 주식스토리2022년 10월 31일 시간외 상승종목
지아이텍 : 당일 이슈 없음. 지난주 LG에너지솔루션의 3분기 호실적 발표(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 흑자전환 - 분기 최대 매출 당성) 재부각으로 LG에너지솔루션 관련주(지아이텍이 LG에너지솔루션 협력사 사실 - 2차전지 코팅 관련 슬롯다이 공급사)로 편입된 지아이텍 시간외 강세 추정. 지아이텍은 2차전지 및 수소전지 관련 슬롯다이(코팅공정 핵심 장비) 사업 및 디스플레이 관련 슬릿 노즐(감광액 도포 핵심 제품)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8일부터 2차전지 관련주(지아이텍의 2차전지 복합소재 'STS630', 표면 코팅 기술 가치 부각) 및 LG에너지솔루션 관련주로 주가 강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지난 8월과 9월에도 2차전지 관련주(지아이텍의 2차전지 슬롯다이(코팅공정 핵심 장비) 사업 부각) 및 LG에너지솔루션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음. 지아이텍은 지난 1월에도 LG에너지솔루션 관련주로 상한가 이력이 있음. ( 지아이텍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03766629182744 )
신영스팩6호 : 당일 이슈 없음. 장중 강세 이후 시간외에서도 강세. 신영스팩6호는 지난 28일부터 거래소의 신영스팩6호와 '화인써키트'의 스팩 소멸 방식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승인 공시로 거래 재개 이후 주가 강세를 보여주고 있음. 화인써키트는 PCB(인쇄회로기판) 등 전자부품 제조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WI :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2/10/967723 장 마감 후 시간외에서 WI의 최대주주 변경('리튬인사이트'로 변경) 공시로 리튬인사이트 관련주로 시간외 강세. WI는 IP(지적재산권) 기반 콘텐츠 제품 제조 및 판매 기업으로 지난 24일 리튬플러스의 오는 11월 국내 첫 수산화리튬 생산 본격화 기대감 재부각으로 리튬플러스 관련주 리튬인사이트 관련주 리튬 관련주 수산화리튬 관련주('리튬플러스' 대표의 '리튬인사이트' 대표 겸임 사실 - 지난 9월 '리튬인사이트'의 WI 제3자배정 유상증자 참여 사실)로 장중 강세 이력이 있음. WI는 지난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리튬인사이트 관련주 리튬플러스 관련주 리튬 관련주 수산화리튬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으며, 지난 9월 21일과 22일 WI의 360억원 규모 대규모 자금조달(350억원 규모 전환사채 발행, 1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로 2거래일 연속 상한가 이력이 있음. WI는 지난 3월 윤석열 관련주 - 반도체 관련주(WI의 반도체 검사장비 사업 부각 - 2022년 현재 생산실적 없음) 및 안철수 관련주(사외이사의 국민의당 전 대변인 이력)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나노 : 장중 강세 이후 시간외에서도 강세. 나노는 오늘(31일) 지난 28일 나노와 독일기업 'EnBW'의 33억원 규모 SCR 촉매 공급계약 체결 공시로 유럽 시장 진출 본격화 기대감에 장중 강세 이력이 있음. 나노는 탈질촉매 사업(대기오염 방지 관련 질소산화물 저감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20일 정부의 태백과 삼척 지역 2차전지 핵심 광물 '티타늄' 광산 개발 본격화 기대감으로 티타늄 관련주 이산화티타늄 관련주(나노의 2차전지 핵심소재 '이산화티타늄' 제조기술 부각)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나노는 지난 9월에도 정부의 2차전지 핵심 광물 티타늄 국산화 추진 소식에 티타늄 관련주 이산화티타늄 관련주로 상한가 이력이 있으며, 지난해(2021년) 증권가 리포트(질소산화물 저감 수요 확대로 나노의 환경사업인 탈질촉매 소재 및 필터 생산 사업 수혜 기대감)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대성파인텍 : 당일 이슈 없음. 대성파인텍은 자동차 부품 사업 및 태양광에너지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26일부터 캐나다 자동차 부품 기업 '마그나'의 5억 달러(7000억원) 규모 공장 신설 및 확장 소식에 마그나 관련주(대성파인텍의 2013년 마그나와 6년 간 정밀 자동차 부품과 금형 공급계약 체결 이력 부각)로 주가 강세를 보여주고 있음. 대성파인텍은 지난 7월 말과 8월 초 태양광에너지 관련주(대성파인텍의 태양광 발전설비, 온수기, 가정용 태양광 보일러 사업 부각), LG마그나 관련주(LG와 세계 3위 자동차 부품업체 '마그나'의 합작사 전기차 부품업체 'LG마그나(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부각 - 대성파인텍이 2013년 마그나와 6년 간 정밀 자동차 부품과 금형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한 이력 부각)로 장중 강세 이력이 있음. 대성파인텍은 지난 5월에도 태양광에너지 관련주, 지난 1월과 2월 애플카 관련주 LG마그나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지에스이 : https://kr.investing.com/commodities/natural-gas 오늘(31일) 천연가스 선물 가격 강세로 천연가스 관련주(지에스이의 천연가스 관련 도시가스 공급 사업 부각)로 편입된 지에스이 시간외 강세 추정. 지에스이는 지난 8월 우크라이나 리스크 관련주 - 천연가스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해(2021년) 12월부터 올해(2022년) 4월까지 우크라이나 리스크 관련주 - 천연가스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음.
지투파워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2103101031805017001 오늘(31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PGE(폴란드전력공사)/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의 폴란드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LOI(협력 의향서) 체결 소식에 원전 관련주(지투파워의 원자력 발전 설비 관련 수배전반 하반기 출시 예정 부각)로 편입된 지투파워 시간외 강세. 지투파워는 지난 4월 코스닥 신규 상장 기업으로 스마트그리드 전문 사업 및 산업 설비 상태/감시/진단 IT솔루션 제공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지난 20일부터 원전 관련주 및 무상증자 관련주(지난 7월 지투파워의 400% 무상증자(보통주 1주당 신주 4주 배정) 이력 부각)로 주가 강세를 보여주고 있음. 지투파워는 지난 7월과 8월 지투파워의 400% 무상증자 결정 및 권리락 발생으로 큰 주가 변동성을 보여준 이력이 있으며, 지난 5월과 6월에도 원전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음. ( 지투파워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35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