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리 상승,하락 종목 분석/2022년

2022년 11월 1일 장중 상승종목, 하락종목, 시간외 상승 종목 :: 권대리의 주식스토리

권 대리 2022. 11. 1. 19:54

2022년 11월 1일 장중 상승종목, 하락종목, 시간외 상승 종목 :: 권대리의 주식스토리

2022년 11월 1일 장중 상승종목, 하락종목, 시간외 상승 종목 :: 권대리의 주식스토리
2022년 11월 1일 상승종목

  1. 한전기술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031/116250745/1 외인 및 개인 매수세 강세. 전일(31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PGE(폴란드전력공사)/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의 폴란드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LOI(협력 의향서) 체결 소식에 한국형 원전(APR1400) 수출 기대감으로 원전 관련주(한전기술의 폴란드 원자력 발전소 설계 용역 담당 가능성)로 편입된 한전기술 상한가. 오늘(1일) 폴란드 원전 수출 관련 증권가 리포트(한전기술 - 설계용역, 두산에너빌리티 - 원전 기자재 공급 수혜)도 매수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 한전기술은 발전소 설계 전문 기업(원자력 발전소 종합 설계/원자로 계통 설계 기술/청정 석탄 화력 발전소 설계 등)으로 지난 8월에도 SMR 관련주 원전 관련주(한전기술의 원자력 발전소 설계 사업 및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수혜 기대감 - SMR 사업 관련 공급계약 체결 이력)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2. 한전산업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031/116250745/1 외인 및 개인 매수세 강세. 전일(31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PGE(폴란드전력공사)/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의 폴란드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LOI(협력 의향서) 체결 소식에 한국형 원전(APR1400) 수출 기대감으로 원전 관련주(한전산업의 원자력 발전소 설비 운전 및 정비 사업 수혜 기대감)로 편입된 한전산업 강세. 한전산업은 발전 설비 운전/정비 사업(석탄화력, 회처리(Raw Ash), 원자력 수처리 등)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태양광, 수상태양광 등)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0월에도 원전 관련주, 지난 3월 윤석열 관련주 - 원전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3. 유신 :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210311610034365e250e8e188_1/article.html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전일(31일) 러시아 외무장관이 우크라이나와의 휴전 협상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우크라이나 복구 재건 관련주(유신의 건물 및 토목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 부각)로 편입된 유신 강세. 11월 초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예정 사실 재부각도 네옴시티 관련주(유신의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터널 프로젝트 참여 사실)로 편입된 유신 매수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 유신은 건물 및 토목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0월에도 우크라이나 복구 재건 관련주 및 네옴시티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10월 17일 오는 11월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빈 살만의 방한 및 한-사우디 정상회담 개최 무산 소식으로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 기업의 인프라 건설 수주 차질 가능성에 네옴시티 관련주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유신은 지난 8월 말과 9월 초에도 네옴시티 관련주, 가덕도 신공항 관련주(유신의 가덕도 신공항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 참여 이력)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으며, 지난 6월과 7월 우크라이나 복구 재건 관련주, 지난 4월 가덕도 신공항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4. 신영스팩6호 : 당일 이슈 없음. 외인 매수세 강세. 신영스팩6호는 지난 10월 28일부터 거래소의 신영스팩6호와 '화인써키트'의 스팩 소멸 방식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승인 공시로 거래 재개 이후 주가 강세를 보여주고 있음. 화인써키트는 PCB(인쇄회로기판) 등 전자부품 제조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5. 두산에너빌리티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031/116250745/1 개인 매수세 강세. 전일(31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PGE(폴란드전력공사)/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의 폴란드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LOI(협력 의향서) 체결 소식에 한국형 원전(APR1400) 수출 기대감으로 원전 관련주(두산에너빌리티의 글로벌 원전 사업 - 원자로 제작 및 원전 해체 사업 부각)로 편입된 두산에너빌리티 강세. 오늘(1일) 폴란드 원전 수출 관련 증권가 리포트(한전기술 - 설계용역, 두산에너빌리티 - 원전 기자재 공급 수혜)도 매수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 설비 제작 및 시공 전문 기업(원자력/화력/플랜트/환경설비 등)으로 지난 4월 두산중공업에서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지난 6월 원전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6. 비에이치아이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031/116250745/1 기관 매수세 강세. 전일(31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PGE(폴란드전력공사)/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의 폴란드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LOI(협력 의향서) 체결 소식에 한국형 원전(APR1400) 수출 기대감으로 원전 관련주(비에이치아이의 원자력 에너지 설비 설계 사업 수혜 기대감)로 편입된 비에이치아이 강세. 비에이치아이는 발전용 기자재(설계, 설치, 시공 등) 전문 기업으로 지난 10월에도 폴란드 신규 원전 건설 이슈로 원전 관련주로 큰 주가 변동성을 보여준 이력이 있음. 비에이치아이는 지난 8월 원전 관련주 및 증권가 리포트(비에이치아이의 LNG 복합화력발전 핵심 설비 'HRSG' 사업 성장 기대감 - 복합화력발전소 글로벌 수요 확대, 원자력/그린수소 사업 다각화, 2023년 LNG발전/원전 사업 수주로 턴어라운드 전망 등), 지난 6월에도 원전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7.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 https://www.etoday.co.kr/news/view/2187983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의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후보물질 'BBT-401' 중국 임상 1상 완료에 따른 마일스톤(기술실시료) 수령 소식에 기대감에 강세.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혁신신약 연구/개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8. 형지I&C : https://www.fnnews.com/news/202211010951472192 기관 매수세 강세. 형지I&C의 이커머스 사업 및 유통 채널 다변화(주요 패션플랫폼 입점)를 통한 3분기 실적 기대감으로 강세 추정. 형지I&C는 의류 사업(정장/캐쥬얼 의류 등)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0월 말부터 지난 9월 형지I&C의 유상증자(주주배정증자 방식) 관련 권리락 발생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형지I&C는 지난 8월 무상감자 결정 공시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3월 이재명 관련주(성남시장 당시 무상교복 정책 시행 이력 - 형지엘리트 지분 8.21% 보유 부각)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 형지I&C 무상감자 관련 기사 : https://www.etoday.co.kr/news/view/2183431 )
  9. 현대무벡스 : https://www.news1.kr/articles/4850747 기관 및 개인 매수세 강세. 네이버의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프로젝트 참여(네이버 '스마트시티' 기술 수출 - 네이버 제2사옥 '1784' 활용) 소식에 네옴시티 관련주 네이버 관련주(현대무벡스의 네이버 신사옥 '1784'에 로봇 층간 이송 시스템 '로보포트' 공급 사실, '로보포트'는 세계 최초 로봇 전용 엘리베이터)로 편입된 현대무벡스 강세. 현대무벡스는 현대그룹 계열사로 물류 자동화 사업 및 IT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지난 1월 로봇 관련주(현대무벡스의 물류용 자율 주행 로봇 개발 이력) 및 증권가 리포트(현대무벡스의 물류 자동화 솔루션 성장 기대감 -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 패러다임으로 물류센터 투자 증가에 따른 수혜)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10. 다이나믹디자인 : 당일 이슈 없음. 외인 매수세 강세. 리튬플러스 관련주 수산화리튬 관련주('리튬플러스' 대표의 '리튬인사이트' 대표 겸임 사실 - 최대주주 이브이첨단소재의 '리튬플러스'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진행 사실)로 재부각되면서 강세 추정. 다이나믹디자인은 타이어 금형(타이어 형태 틀) 및 제조설비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0월 다이나믹디자인 주요 투자자들의 CB(전환사채) 전환청구권 행사로 재무구조 개선 기대감 및 리튬플러스 관련주 수산화리튬 관련주로 4거래일 연속 상한가 이력이 있으며, 지난 2월 무상감자 결정으로 거래정지 이후 지난 5월 거래재개 되었음.
  11. 세아특수강 :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210271430226160102446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11월 초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예정 사실 재부각으로 네옴시티 관련주(계열사 '세아창원특수강'의 2021년 세계 최대 석유회사 사우디 '아람코'와 현지 법인 설립 이력)로 편입된 세아특수강 강세. 세아특수강은 철강재 생산(선재/봉강) 사업 및 자동차 부품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0월에도 네옴시티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세아특수강은 지난 8월에도 네옴시티 관련주,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관련주 가스관 관련주 - 철강 관련주(세아특수강 관계사 '세아제강'의 2014년 이탈리아 특수강 강관 기업 '이녹스텍' 인수 이력, 세아그룹의 유럽 현지 사업 부각)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12. 에이티세미콘 : https://www.fnnews.com/news/202211010933103009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에이티세미콘의 720억원 규모 반도체 패키지 사업 양도 완료 및 2차전지 신사업 추진 기대감에 2차전지 관련주로 강세. 에이티세미콘은 반도체 테스트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9월 말 반도체 관련주(에이티세미콘의 반도체 테스트 사업 부각)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8월 31일 반도체 테스트 사업을 제외한 반도체 패키징 사업 일체를 에이팩트에 양도한다는 소식이 있었음. 에이티세미콘은 지난 5월 메모리 반도체 후공정 전문기업 '에이팩트'에 반도체 패키지 사업 매각 및 신사업으로 2차전지 제조/유통 사업 및 전자제품/위성발사체 제조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음. 에이티세미콘은 지난 4월 쌍용차 인수 후보 기업 관련 이엔플러스 관련주(에이티세미콘의 이엔플러스 CB(전환사채) 보유 사실)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3월 2100억원 대규모 자금조달(1000억원 규모 CB/1000억원 규모 BW 발행, 102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및 최대주주 변경 소식(인플루언서랩으로 변경 예정)에 4거래일 연속 상한가 이력이 있음.
  13. 대한전선 :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210271430226160102446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11월 초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예정 사실 재부각으로 네옴시티 관련주 아람코 관련주(지난 10월 대한전선과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기업 '아람코'의 사업 협력 방안 논의 소식 - 전력 인프라 관련 수주 기대감)로 편입된 대한전선 강세. 대한전선은 지난 8월에도 네옴시티 관련주(지난 6월 대한전선의 사우디아라비아 현지 합작법인 설립계약 체결 및 초고압 케이블 공장 건설 예정 사실)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5월 대한전선의 미국 전력 시장 진출(전력 및 케이블 분야 공급 사업) 기대감, 지난 3월 호반건설 관련주(대한전선의 최대주주인 호반그룹 계열사 '호반산업' 부각) 및 구리 관련주(대한전선의 전선 제조 및 판매 사업 부각 - 원재료인 전기동(구리) 평균 가격 상승 - 제품 판매가격 상승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14. 한신기계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031/116250745/1 외인 매수세 강세. 전일(31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PGE(폴란드전력공사)/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의 폴란드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LOI(협력 의향서) 체결 소식에 한국형 원전(APR1400) 수출 기대감으로 원전 관련주(한신기계의 원자력 발전에 필요한 '콤프레샤(압축기)'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국내 주요 원전에 공급했던 이력)로 편입된 한신기계 강세. 한신기계는 공기 압축기 전문 제조 기업으로 지난 10월에도 폴란드 신규 원전 건설 이슈로 원전 관련주로 큰 주가 변동성을 보여준 이력이 있으며,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원전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음.
  15. 선진뷰티사이언스 : 개인 매수세 강세. 오늘(1일) 선진뷰티사이언스의 긍정적인 전망(중국 시장 등 글로벌 점유율 기반 화장품 소재 사업 높은 성장 예상)을 담은 증권가 리포트로 강세. 최근 약세였던 주가에 대한 저가 매수세 유입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난 2월 일상회복 관련주 리오프닝 관련주(화장품 -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자외선 차단제, 색조 화장품, 스킨케어 제품 등에 사용되는 원료 사업 부각)로 상한가 이력이 있음.
  16. 서전기전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031/116250745/1 개인 매수세 강세. 전일(31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PGE(폴란드전력공사)/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의 폴란드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LOI(협력 의향서) 체결 소식에 한국형 원전(APR1400) 수출 기대감으로 원전 관련주(서전기전의 원자력 발전소용 배전반 사업 및 원전 개보수 사업 수혜 기대감)로 편입된 서전기전 강세. 서전기전은 전력 변환 기기 - 수배전반(고/저압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등)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3월과 4월 원전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17. 두산 :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오늘(1일)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강세에 따른 두산그룹 모회사 두산 동반 강세 추정. 두산은 두산그룹 지주사로 지난 9월 로봇 관련주(자회사 '두산로보틱스' - 국내 협동 로봇 시장 1위/글로벌 5위 기업 사실, '두산로보틱스 아메리카'의 북미 로봇 시장 진출 기대감), 지난해(2021년) 두산건설 매각 기대감에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18. 유티아이 : 당일 이슈 없음. 기관 및 외인 매수세 강세. 최근 약세였던 주가에 대한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강세 추정. 유티아이는 스마트폰용 카메라 윈도우 커버 글래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2020년 삼성전자의 1차 협력업체로 부각되면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19. 씨앤씨인터내셔널 : 외인 및 개인 매수세 강세. 오늘(1일) 씨앤씨인터내셔널의 3분기 호실적 발표(연결기준 전년동기대비 274.8% 증가한 영업이익 기록)에 대한 기대감으로 강세. 씨앤씨인터내셔널은 지난해(2021년)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한 색조 화장품 제조 기업으로 지난 2월 일상회복 관련주 리오프닝 관련주(화장품 - 씨앤씨인터내셔널의 색조 화장품 제조 사업 수혜 기대감)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20. 윙스풋 : 당일 이슈 없음. 개인 매수세 강세. 지난 10월 27일 윙스풋과 IBKS제12호스팩의 스팩 합병을 통한 코스닥 상장 이후 약세였던 주가에 대한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강세 추정. 윙스풋은 신발 편집숍 운영 사업(복합 편집숍 '와이컨셉') 및 유통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10월 중 IBKS제12호스팩과 '윙스풋'의 스팩 합병을 통한 코스닥 상장 기대감 재부각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윙스풋(당시 'IBKS제12호스팩')은 지난 8월 말부터 스팩 합병 상장이 예정된 스팩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후 9월 말부터 대규모 차익실현 매도세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 윙스풋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s://www.ajunews.com/view/20221023154120781 )

 

2022년 11월 1일 장중 상승종목, 하락종목, 시간외 상승 종목 :: 권대리의 주식스토리
2022년 11월 1일 하락종목

  1. 에스디생명공학 : 기관 매도세 강세. 전일(31일) 지난 5월 에스디생명공학의 유상증자(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 관련 보통주 추가상장 공시로 리스크 회피 매도세로 하한가 추정. 오늘(1일) 특정 개인 및 기타법인의 대규모 매도세도 주가 하락에 영향을 주었음. 에스디생명공학은 화장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9월 유상증자에 따른 권리락 발생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5월 352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 공시로 하한가 이력이 있음.
  2. 저스템 : 기관 매도세 강세. 지난 10월 28일 코스닥 신규 상장 이후 공모가(1만 500원) 대비 강세였던 주가에 대한 대규모 차익실현 매도세로 약세. 저스템은 글로벌 1위 반도체 오염제어 솔루션 - 반도체 환경제어 시스템 'LPM N₂ Purge System(N2 퍼지 시스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등이 주요 고객사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 10월 28일 코스닥 상장 첫날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 저스템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582125 )
  3. 경동인베스트 : 기관 및 외인 매도세 강세. 지난 10월 20일부터 정부의 태백과 삼척 지역 2차전지 핵심 광물 '티타늄' 광산 개발 본격화 기대감에 티타늄 관련주 경동그룹주(경동인베스트 자회사 '경동'의 태백/삼척/봉화 지역 조광권 실시 기업 지위 확보 사실, 해당 지역 광산개발 투자/우선협상권 보유 사실)로 강세였던 주가에 대한 대규모 차익실현 매도세로 약세. 경동인베스트는 경동그룹의 지주회사로 자회사 '경동에너아이(부동산 임대 사업)', '경동이앤에스(종합 건설 사업)', '경동(광산업/자원개발 사업)' 등을 두고 있으며, 지난 10월 21일 해당 뉴스에 대해 "자회사 경동의 조광권 취득은 사실이지만, 티타늄 광물 개발에 대한 구체적 일정 수립과 경제성 평가 수행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발표하였음. 경동인베스트는 지난 20일부터 티타늄 관련주 경동그룹주로 3거래일 연속 상한가 이력이 있음. ( 정부의 태백/삼척 지역 '티타늄' 광산 개발 추진 기사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82218 )
  4. 에스티팜 : 기관 및 외인 매도세 강세. 전일(31일) 에스티팜의 3분기 부진한 실적 발표(연결기준 전년동기대비 41.6% 감소한 영업이익 기록, 시장 컨센서스 하회) 및 오늘(1일) 증권가 리포트(에스티팜의 CRO 증축 비용 증가, 자회사 '레바티오'/'버나젠' 연구개발비 증가 영향으로 실적 악화, 목표주가 하향 조정)로 리스크 회피 매도세로 약세. 에스티팜은 신약 및 제네릭(특허 만료된 공개 기술 기반 복제약) 원료의약품 사업(고지혈증, 만성B형간염, 결핵, 당뇨 등)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8월 아시아 최초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올리고 - 유전자 치료제 원료의약품)' 제조소 미 FDA cGMP 인증 획득 소식에 미국 시장에 '올리고' 대규모 상업화 물량 수출 기대감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에스티팜은 지난해(2021년) 증권가 리포트(에스티팜의 제2올리고핵산치료제 원료 공장 신축 및 생산설비 증설 결정에 따른 RNAi 치료제 수요 대응 기대감)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 에스티팜 기업 이해를 돕는 기사 : https://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1718726632492920 )
  5. 퓨쳐켐 : 기관 매도세 강세. 전일(31일) 지난 7월 퓨쳐켐의 유상증자(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 관련 보통주 추가상장 공시로 리스크 회피 매도세로 약세 추정. 퓨쳐켐은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알츠하이머, 파킨슨, 전립선암 등) 기업으로 지난 9월 말 전립선암 치료제 'FC705'에 대한 식약처 치료목적 사용 승인 소식 및 글로벌 전립선암 치료제 시장 진출 기대감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7월 450억원 규모 유상증자(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 결정 공시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퓨쳐켐은 지난해(2021년) 증권가 리포트(퓨쳐켐의 전립선암 치료제 'FC705' 가치 재평가 및 미 FDA 임상 1상/2a상 IND 신청 기대감, 미국 기업 '노바티스' 대비 저평가 언급)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 퓨쳐켐의 전립선암 치료제 'FC705' 관련 기사 : https://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1334966632465040 )

 

2022년 11월 1일 장중 상승종목, 하락종목, 시간외 상승 종목 :: 권대리의 주식스토리
2022년 11월 1일 시간외 상승종목

  1. 베셀 :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2/11/01/RJABVSDILNFKHGJLG4UJXHAJYY 오는 4일 세계 최대 항공기 제작사 '보잉' CEO 방한 및 현대차/한화 등과 UAM/방산 협력 논의 예정 소식 재부각으로 UAM 관련주 드론 관련주(베셀 자회사 '베셀에어로스페이스'의 중형급 수직이착륙무인기 부각, 베셀이 KAI, 현대차와 함께 자율비행 개인항공기 컨소시엄 참여 이력 및 드론/UAM(도심항공모빌리티) 관련 무인항공기 국책사업 수주 이력)로 편입된 베셀 시간외 상한가. 11월 중순 사우디아라비아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방한 예정 소식도 네옴시티 관련주 - 드론 관련주(네옴시티 관련 패키지 진출 전략 수립 - 드론 분야 연계 가능성)로 편입된 베셀 매수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 베셀은 디스플레이(LCD/OLED/터치패널용 In-line system) 장비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0월 20일에도 정부의 드론 배송서비스 본격 상용화 소식 재부각으로 드론 관련주로 장중 강세 이력이 있음. 베셀은 지난 9월 증권가 리포트(2023년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 중화권 LCD 관련 인라인 시스템 수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4월과 5월 UAM 관련주 드론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음.
  2. 도화엔지니어링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DGH7P8DH 11월 중순 사우디아라비아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방한 예정 소식에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 기업의 인프라 건설 수주 기대감으로 네옴시티 관련주(도화엔지니어링의 네옴시티 프로젝트 수주전 참여 준비 사실 - 관광 리조트단지, 해상 매립 산업단지 수주 준비 언급)로 편입된 도화엔지니어링 시간외 상한가. 도화엔지니어링은 SOC 엔지니어링 사업(SOC 설계/감리/건설 - 도시/철도/플랜트 등)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0월 미국(상무부/교통부)과 우크라이나(인프라부)의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을 위한 합동 TF 구성 소식에 우크라이나 복구 재건 관련주(2020년 도화엔지니어링의 우크라이나 도로국과 도로 재건 감리 사업 계약 이력)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도화엔지니어링은 지난 9월 네옴시티 관련주, 지난 5월과 6월 우크라이나 복구 재건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3. 네온테크 :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2/11/01/RJABVSDILNFKHGJLG4UJXHAJYY 오는 4일 세계 최대 항공기 제작사 '보잉' CEO 방한 및 현대차/한화 등과 UAM/방산 협력 논의 예정 소식 재부각으로 UAM 관련주 드론 관련주(네온테크의 산업용 드론 핵심 기술(멀티드론, 자동비행 등) 보유 사실 부각)로 편입된 네온테크 시간외 강세. 11월 중순 사우디아라비아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방한 예정 소식도 네옴시티 관련주 - 드론 관련주(네옴시티 관련 패키지 진출 전략 수립 - 드론 분야 연계 가능성)로 편입된 네온테크 매수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 네온테크는 FA(공장 자동화 설비 - 반도체/LED 디스플레이 분야) 사업 및 산업용 드론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0월 20일에도 정부의 드론 배송서비스 본격 상용화 소식 재부각으로 드론 관련주로 장중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5월에도 UAM 관련주 드론 관련주로 상한가 이력이 있음.
  4. 희림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DGH7P8DH 11월 중순 사우디아라비아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방한 예정 소식에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 기업의 인프라 건설 수주 기대감으로 네옴시티 관련주(희림의 사우디/카타르 등 중동 현지 수주 이력 부각)로 편입된 희림 시간외 강세. 희림은 건설 관련 서비스 사업(건축물 설계와 감리)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0월에도 네옴시티 관련 이슈로 네옴시티 관련주로 큰 주가 변동성을 보여준 이력이 있으며, 지난 8월 말과 9월 초 네옴시티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 이력이 있음. 희림은 지난 6월 말에도 네옴시티 관련주로 상한가 이력이 있으며, 지난 3월 윤석열 관련주(윤석열 후보 부인의 '코바나컨텐츠' 후원기업 이력)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5. 기산텔레콤 :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2/11/01/RJABVSDILNFKHGJLG4UJXHAJYY 오는 4일 세계 최대 항공기 제작사 '보잉' CEO 방한 및 현대차/한화 등과 UAM/방산 협력 논의 예정 소식 재부각으로 UAM 관련주 드론 관련주(기산텔레콤의 자회사 '모피언스'가 국내 유일 항공항행안전 무선사업 핵심 기술 장치(DVOR) 개발 사실)로 편입된 기산텔레콤 시간외 강세. 11월 중순 사우디아라비아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방한 예정 소식도 네옴시티 관련주 - 드론 관련주(네옴시티 관련 패키지 진출 전략 수립 - 드론 분야 연계 가능성)로 편입된 기산텔레콤 매수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 기산텔레콤은 통신 장비(중계기, 유무선 통신 시스템 장비 등)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10월 20일에도 정부의 드론 배송서비스 본격 상용화 소식 재부각으로 드론 관련주로 장중 강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8월 K2전차 관련주(기산텔레콤 자회사 '현대제이콤'이 K2전차에 내장형 시뮬레이터 공급 사실)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기산텔레콤은 지난 6월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제외 결정으로 거래재개 후 주가 약세 이력이 있으며, 지난 4월부터 UAM 관련주 드론 관련주 및 삼성전자 관련주 - 6G 5G 파이브지 관련주(기산텔레콤의 5G 중계기 사업 부각)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6. 하이즈항공 :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2/11/01/RJABVSDILNFKHGJLG4UJXHAJYY 오는 4일 세계 최대 항공기 제작사 '보잉' CEO 방한 및 현대차/한화 등과 UAM/방산 협력 논의 예정 소식 재부각으로 보잉 관련주(하이즈항공이 보잉 1차 협력사 사실) 및 UAM 관련주 드론 관련주(하이즈항공의 드론 관련 복합재 부품 사업 부각 및 UAM 협의체 구성 이력)로 편입된 하이즈항공 시간외 강세. 하이즈항공은 항공기 부품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 5월 윤석열 관련주 - UAM 관련주 드론 관련주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7. 한미글로벌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DGH7P8DH 11월 중순 사우디아라비아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방한 예정 소식에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 기업의 인프라 건설 수주 기대감으로 네옴시티 관련주(한미글로벌의 네옴시티 관련 '네옴 더 라인'/'로쉰 주거단지' 수주 이력 부각)로 편입된 한미글로벌 시간외 강세. 한미글로벌은 글로벌 8위 건설사업관리(건설사업의 종합 관리) 전문 기업으로 지난 19일부터 네옴시티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난 17일 오는 11월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빈 살만의 방한 및 한-사우디 정상회담 개최 무산 소식으로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 기업의 인프라 건설 수주 차질 가능성에 네옴시티 관련주로 주가 약세 이력이 있음. 한미글로벌은 지난 10월 초 증권가 리포트(한미글로벌의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프로젝트 수혜 예상 - 글로벌 8위 PM(건설사업관리) 업체로 네옴시티 관련 '네옴 더 라인'/'로쉰 주거단지' 수주 이력 부각) 및 네옴시티 관련주, 지난 8월 말부터 네옴시티 관련주로 엄청난 주가 상승을 보여주고 있음. 한미글로벌은 지난해(2021년) 윤석열 관련주(윤석열 전 검찰총장 부인의 '코바나컨텐츠' 후원기업 이력)로 주가 강세 이력이 있음.

 

권대리 상승, 하락 종목 분석 보러가기